2021년 목표설정

이미지
기본적으로 작년에 달성하지 못한 것들을 하려고 생각중인데..코로나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한국이나 북해도는 갈 수 있을지..자격증은 응시 가능할지..여러가지가 불확실하다. 2021년은 무엇보다 정신적인 부분과 경제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고 조금 더 치열하게 지내보고 싶다. 일본나이로도 30대 마지막 해, 이제 불혹에 접어드는 나이..복잡하지만 심플하게. 육체적목표 : 트라이에슬론 스탠다드 도전하기 정신적 : 자격증2개 도전 + 자체개발 서비스 론칭 가족적 : 가정의 평화를 유지하기 경제적 : 외식과 유흥비를 줄이고 부수입을 늘려서 결과적으로 저축하기 사회적 : 목표세미나를 포함해서 민단과 개인인맥의 활성화와 교류를 촉진하기

SOA와 웹 2.0 의 비교

웹기반 표준기술인 웹서비스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한다는 측면에서 SOA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웹 2.0과 매우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아키텍쳐 전략 담당관인 John de Vados는 웹 2.0과 SOA의 개념과 주요 특성을 비교하면서 현재 웹 2.0은 소비자 중심 비즈니스 모델을 지원하고, SOA는 기업 중심 모델을 지원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미래 비즈니스 세계는 이 둘간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연계가 활발해짐에 따라, 궁극적으로 웹 2.0이 글로벌 차원의 SOA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웹 2.0과 SOA간 개념비교 (출처 : SOA Web Service Journal, 2006)


웹 2.0
SOA
서비스 모델
- 웹 서비스
- 웹 서비스
선호하는 서비스 표준
- HTTP, XML, RSS, REST
- WSDL, UDDI, SOAP, BPEL
재사용성
- 매우 높음
- 약간 높음
유연성 및 순응성
- 매우 높음
- 단순한 데이터 포맷
- 가벼운 프로그래밍 모델
- 높음(보다 더 공식적)
- 조합과 통합
  (Composition and Orchestration)
비즈니스 모델
 - 롱테일(Long Tail) 효과
 - 네트워크 효과
 - 집단지능 활용
 - 고객 셀프 서비스
 - BPM
 - 자산통합(Asset Integration)
 - 데이터 퓨전(Data Fusion)
 - 래거시 자산의 생명주기 연장
 - 비즈니스 활동 모니터링
 - 비즈니스 지능 활용
설계 플랫폼
 - AJAX
 - 신디케이션(syndication)
 - 멀티 디바이스 소프트웨어
 - Service layer
 - Service Bus
 - Unit of Work
핵심역량
 - 서비스로서의 SW(Saas)
 - 데이터 소스에 대한 통제
 - 공동개발자로서 사용자 신뢰
 - 집단지능 이용
 - 롱테일 효과
 - 단일 디바이스(PC플랫폼)을
   넘어선 소프트웨어
 - 가벼운(lightweight) UI,
   개발모델, 비즈니스모델 채용
 - 기능의 재정비
 - 자산(Asset)으로서 데이터
 - 접근가능성
 - 시스템/데이터 통합
 - 비용절감
 - 비즈니스 기민성(Agility)
 - B2B 셀프서비스
 - 오픈스텐다드
 - 온톨로지(ontologies)
 - 오퍼레이션의 투명성
 - 소비자 중심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공적인 소셜커머스를 위한 10단계 전략

[C# & LINQ] 랜덤으로 데이터를 한 개 추출하는 방법

[메모] PostgreSQL에서 Insert 하는 경우 자동채번 PK가 중복에러 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