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목표설정

이미지
기본적으로 작년에 달성하지 못한 것들을 하려고 생각중인데..코로나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한국이나 북해도는 갈 수 있을지..자격증은 응시 가능할지..여러가지가 불확실하다. 2021년은 무엇보다 정신적인 부분과 경제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고 조금 더 치열하게 지내보고 싶다. 일본나이로도 30대 마지막 해, 이제 불혹에 접어드는 나이..복잡하지만 심플하게. 육체적목표 : 트라이에슬론 스탠다드 도전하기 정신적 : 자격증2개 도전 + 자체개발 서비스 론칭 가족적 : 가정의 평화를 유지하기 경제적 : 외식과 유흥비를 줄이고 부수입을 늘려서 결과적으로 저축하기 사회적 : 목표세미나를 포함해서 민단과 개인인맥의 활성화와 교류를 촉진하기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계층 구조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계층 구조는 7계층으로 되어있다.

1. Physical (=물리 계층)
 - 상위 계층에서 내려온 비트들을 전송 매체를 통하여 어떤 전기적
  신호로 전송할 것인가를 담당.

2. Data Link (=데이터 링크 계층)
 - 신호수준의 데이터 비트들이 물리계층을 통과하면 데이터블록을
  형성하는데,  이 데이터 블록에 대한 전송을 담당
 - 인접한 개방형 시스템간에 발생하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담당.
      ① 데이터 블록의 시작과 끝을 인식하는 동기화 문제
      ② 발생된 오류를 검출하고 복원하는 오류문제
      ③ 혼선 제어문제


3. Network (=네트워크 계층)
 -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보이지 않는 논리적인 링크를 구성
 - 데이터를 패킷(packet)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한 후 조립함
 - 패킷 전송의 최적의 경로를 찾아주는 라우팅 기능 제공

4. Transport (=전송 계층)
 - 사용자와 사용자, 컴퓨터와 컴퓨터간에 연결을 확립하고 유지
 - 송수신 시스템간의 논리적인 안정과 균일한 서비스 제공
 - 세션 계층에서 넘어온 데이터를 세그먼트(segment) 단위로
  분할하고 번호를 붙임
 - 오류 검출 코드를 추가하고 통신 흐름 제어를 제공

5. Session (=세션 계층)
 - 세션을 확립하여 순차적인 대화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동기화 기능 제공
 - 데이터 전송 방향 결정
※ session : 사용자가 접속중인 응용 프로그램을 한 쌍으로 연결하는 작업

6. Presentation (=표현 계층)
 -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을 다루는 계층
 - 데이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 압축이나,
  데이터 암호화 기능 제공
 - 상이한 데이터 표현을 서로 가능케 하는 표준인터페이스 제공

7. Application (=응용 계층)
 - 사용자의 응용 PㆍG(Program)이 네트워크 환경에 접근하는
  창구역할을 하는 최상위 계층
OSI 7계층은 크게 하위계층과 상위계층으로 나눈다.
*상위계층(전송 계층,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
*하위계층(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 그림 출처 : http://www.ducsi.ac.kr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메모] PostgreSQL에서 Insert 하는 경우 자동채번 PK가 중복에러 나는 경우

[C# & LINQ] 랜덤으로 데이터를 한 개 추출하는 방법

[react-native] uuid 생성이 에러가 날 때 대처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