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르소나란??
'인격' 을 뜻하는 라틴어로, 이전에는 연극배우의 '가면' 을 뜻하는 단어였다.
이것이 '인생' 을 연기하는 배우를 지칭하는 단어로 확장되면서 인간개인을 뜻하게 되었다.
여러 분야에서 조금씩 다른 의미로 사용되지만, 대체적으로는
'이성과 의지를 가지고 자유롭게 행동하며 그에 따르는 책임을 질 수 있는 주체' 로 축약할 수 있다.
- 페르소나 전략이란??
경영에서의 페르소나란, 제품 및 서비스를 사용하는 '유저(사용자)' 의 상(像)을 투영시킨 '가상의 유저 개체'를
만들고 이를 모델링 한 것을 지칭한다.
페르소나는 연령과 성별, 국적 및 가족구성 등의 신상정보 뿐 아니라 취미 및 특기, 취향과 생활스타일, 가치관
등의 포괄적인 정보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유저가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함에 있어서 어떤 목적으로, 어떤 장소에서, 어떤 상태에서 어떤 심리상태로
접근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스토리 형식으로 기술하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페르소나를 고객지향을 목적으로 하여 제품과 서비스의 설계, 개발 및 디자인, 마케팅에 적용
시키고 활용하는 것을 페르소나 전략이라고 한다.
- 페르소나 전략의 필요성
얼핏 보기에는 크게 의미가 없는 행위로 보일 수 있으나, HCD(Human Centerd Design) 의 연장선으로 다음의
문제에 대해서 의미있는 전략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1. '유저' 의 범위가 매우 불확실함.
같은 회사에서조차 '사용자' 및 '유저' 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한 경우가 있다.
페르소나를 적용하게 되면 매우 객관적이고 또한 명확한 속성을 지닌 유저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 시 전사적으로 같은 개념의 '유저' 에의 지향이 가능하게 한다.
2. '유저' 의 속성을 분석/이해/모델링 하는 것이 매우 난해함.
사람마다 취향 및 가치관이 다르며 행동패턴 역시도 매우 복잡하므로 이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이 따른다.
페르소나는 유저의 대다수가 가진 속성을 보편화하므로 이를 분석하고 이해하며 또한 모델링
하는 것에 대하여 편의를 제공한다.
3. 설계, 개발자 및 관리자, 디자이너 역시 다른 의미에서의 '유저'
사람은 태어날 때 부터 지금까지 자라온 환경과 가치관이 다르며, 설계자 및 개발자 역시도
자신의 '취향' 및 '가치관' 을 지닌, 다른 분야의 관점에서의 '또 다른 유저' 이다.
즉, 자신도 모르는 사이의 자신의 취향이나 가치관이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페르소나는 이를 배제시켜서 고객지향의 제품과 서비스의 설계와 생산을 가능하게 돕는다.
4. 제품 및 서비스의 프로세스에 대해서 제각각의 사람이 참여함.
시장조사자, 설계자, 개발자, 디자이너, 판매자 등등 제품 및 서비스의 제공 프로세스에는
많은 사람이 참여하게 되어 여러가지 의사소통 문제 및 유저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혼란이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
페르소나는 모든 구성원에게 객관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유저모델을 제공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을
지원하며, 또한 유저에 대한 관점 역시도 일원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5. 자료 및 조사, 레포트의 수집/편집/활용/평가가 어려움.
유저에 대한 방대한 자료 및 조사법, 그리고 레포트에 대한 수집/편집/활용에 대하여 명확한
타겟을 제공함으로써 시간과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토대로 의미있는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