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목표설정

이미지
기본적으로 작년에 달성하지 못한 것들을 하려고 생각중인데..코로나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한국이나 북해도는 갈 수 있을지..자격증은 응시 가능할지..여러가지가 불확실하다. 2021년은 무엇보다 정신적인 부분과 경제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고 조금 더 치열하게 지내보고 싶다. 일본나이로도 30대 마지막 해, 이제 불혹에 접어드는 나이..복잡하지만 심플하게. 육체적목표 : 트라이에슬론 스탠다드 도전하기 정신적 : 자격증2개 도전 + 자체개발 서비스 론칭 가족적 : 가정의 평화를 유지하기 경제적 : 외식과 유흥비를 줄이고 부수입을 늘려서 결과적으로 저축하기 사회적 : 목표세미나를 포함해서 민단과 개인인맥의 활성화와 교류를 촉진하기

[메모] git 하고 github 설치

버전관리 및 소스코드 관리 학습을 위해서 설치를 해 봤다.
하도 귀아프게 들어서 언젠가는..이라고 생각만 했지 실제 개발쪽 일을 많이 안 했고 사용해도 SVN만 적당히 사용해 와서 필요성도 못느꼈다.
그래도 이왕 맘먹고 공부를 하는김에 개인적인 개발관련 프로젝트는 적용을 해보자 싶었음.

설치방법은 간단함. 나는 맥을 사용중이니 Mac OS X 환경을 전제로 설명함.


  1. 터미널을 열어서 git 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git --version
  2. https://git-scm.com/ 에 접속해서 화면 오른쪽에 있는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dmg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한다. (혹은 터미널에서 brew install git 이라고 입력해도 ㅇㅋ) 
  3. 재부팅 후 터미널에서 1번 과정을 반복해서 설치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
  4. 사용자 홈 디렉토리에 폴더를 하나 만든다. (터미널에서는 mkdir 커멘트 사용) 
  5. 터미널에서 만든 폴더에 접근하여 다음과 같이 입력 후 ls -all 명령어로 .git 디렉토리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 git init
  6. https://github.com/ 에 접속해서 계정을 생성한다.
  7. 생성된 계정을 메일인증 한 후에, 화면 왼쪽상단에 있는 new (+모양) 버튼을 클릭 후,  new repository 를 선택한다.
  8. Create a new repository 화면이 나오는데,  Repository name (필수, gitTest로 설정) 과 설명 및 옵션등을 입력한 후 Create Repository 버튼을 누른다. 
  9. Quick setup 이라는 설명이 나오는데, 여러가지 방법이 되나보다..그 중에서 나는 가장 원시적인 방법을 택했는데, [..or create a new repository on the command line] 이었다.
  10. 터미널로 가서 그대로 타이핑을 했다.
    >> echo "@ gitTiest" >> README.md
    >> git init
    >> git add README.md
    >> git commit -m "first commit"
    >>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accountname)/gitTest.git
    >> git pust -u origin mastet
  11. 이걸로 설정 완료. 앞으로는 git 명령들을  통해서 커밋하거나 푸시, 혹은 내려받는 데이터들은 깃허브의 설정된 remote repository 를 기준으로 동기화 된다. 
열심히 쓰면서 개념이나 사용법을 익혀야겠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메모] PostgreSQL에서 Insert 하는 경우 자동채번 PK가 중복에러 나는 경우

[C# & LINQ] 랜덤으로 데이터를 한 개 추출하는 방법

[react-native] uuid 생성이 에러가 날 때 대처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