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인데도 유료 강의 이상의 충실한 내용과 학습컨텐츠가 넘쳐나는 그 유명한 생활코딩ㅋㅋ 덕분에 nodejs 공부를 아주 수월하게 잘 해가고 있다. 전형적인 엡에플리케이션 제작하는 강의를 따라하고 그 내용을 정리한다. nodejs, express, body-parser, supervisor 등 기본설정은 이미 끝났다고 가정한다. 생활코딩에서는 템플릿 엔진으로 jade 를 사용했으나, 여기서는 ejs 로 진행했다. 만든 웹은 간단히 제목과 본문을 폼으로 입력받아서 POST로 전송하면 그 내용을 파일에 저장하고, 그 파일을 불러서 글 목록과 본문을 표시하는 예제이다. [처음 화면] [링크를 눌렀을 경우 내용 표시] [New article 링크를 눌렀을 때 입력 폼] 우선, 템플릿엔진의 뷰 파일을 저장할 폴더를 views_file 이라는 이름으로, 전송된 내용을 저장할 파일이 담길 폴더를 data 라는 이름으로 생성한다. 또한, 메인 파일을 프로젝트 폴더 루트에 app_file.js 라는 이름으로 생성한다. [소스코드 - ./app_file.js] // 익스프레스 설정 var express = require ( 'express' ); var app = express (); // POST 전송을 위한 body-parser 설정 -> bodyParser의 Install 이 먼저 선행되어야 함. var bodyParser = require ( 'body-parser' ); app . use ( bodyParser . urlencoded ({ extended: false })); // 파일처리를 위한 객체생성 var fs = require ( 'fs' ); // 템플릿 엔진을 EJS 로 설정함, 뷰 파일이 저장될 폴더는 ./views_file 임. app . set ( 'views' , './v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