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4회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에 최종합격함. 사실 굳이 올해 취득을 하려고 결심하지도 않았고..되려나?? 하는 의심 속에서 진행을 했는데 운이 참 좋았다고 해야할까나..?? 피드백 겸 혹시 다른 분들에게 도움이 될까 싶어서 생각나는 내용들을 정리해둠. (취득과정 및 공지, 구체적인 내용은 국립국어원 혹은 한국산업인력공단 누리집 참조) 취득배경 일본에 온 지 벌써 10년째가 되었다. 대학원생 시절부터 한국어교실 강사 아르바이트를 했었는데 지식이나 자격도 없이 한국어를 외국어로 외국인에게 가르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웠던지..지금이야 어느정도 익숙해지기도 했고 일본어도 문제없이 구사하므로 크게 어렵지 않지만 처음에는 매우 어려웠다. 당시에는 한류붐이 엄청났었고 한국어를 배우려는 사람들도 매우 많았다. 애정을 가지고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서 돈과 시간을 들여서 나한테 오는데 내가 대충 가르치면 인간적으로도 실례가 되고, 넓게 보자면 한국이라는 나라와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도 나빠지지 않을까?? 라는 걱정과, 그럴때마다 한국어 교사 자격증이라도 있으면 좋을텐데~공부도 되고 공신력도 생기고~하는 생각에 언젠가 시간과 기회가 되면 자격증을 따고 싶다고 생각해 왔다. 올해(2019년), 취업도 되었고 어느정도 생활도 안정이 되어서 불현듯 정보를 찾아보니 4월부터 양성과정이 시작되는데 시험이 1년에 1번이니 이번에 수강을 안 하면 올해는 시험을 못본다는 공지사항을 보고 조금은 충동적으로(?) 양성과정을 신청하게 되었다. 양성과정 많은 업체나 교육기관에서 양성과정을 진행하고 있는데, 난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의 양성과정을 신청했다. 음...그냥 막연하게 서울대학교 네임벨류에 끌렸달까?? ㅋ 과정은 약 3개월에 가격은 70만원 정도로 기억한다. 수강완료 후 1년간 복습도 된다길래 혹시 떨어져도 내년에 또 볼 수 있겠다는 안일한 생각을 하며 와이프에게 허락을 받고 카드결제 완료. 양성과정은 크게 이론수업과 실습수업으로 나뉘어졌고, 이론수...